내가 살고 있는 워싱턴 주에선 마리화나가 합법이다. 작년도 선거에서 마리화나 합법화 법안이 통과 됨으로써 허가된 마리화나 판매점에서 개인이 소량의 마리화나를 구입하거나 사적인 공간(주로 자기 집)에서 피우는 것은 이제 완전 합법이 되었다.
많은 한국분들에겐 마리화나(대마초)가 상당히 부정적이고 위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고, 마리화나를 합법화하면 그로 인한 부작용과 다른 마약류에 대한 접근이 더 쉬워질 것으로 지레 짐작하시는 분들도 꽤 많은 것 같다. 하지만 마리화나가 담배만큼이나 흔한 곳에서 사는 나로서는 합법화 이후의 부정적인 영향을 전혀 느끼지 못하고 있다. 합법화 이후에 느껴지는 차이라면 길 가다가 마리화나 냄새를 좀더 자주 맡게 되었다는 정도일까?
합법화 이전에도 이미 마리화나는 의사의 처방전이 있으면 구입할 수 있었다. 마리화나는 간질병으로 인한 발작이나 공황장애, 신경성 위장병 등의 신경정신과적 치료가 필요한 병, 그리고 심한 통증의 증상을 완화시켜주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한다. 물론 의사에게서 처방전을 받으려면 그런 질병이 있어야 하는 건 당연하다.
내 미국인 친구 중에 간질병 때문에 마리화나를 가끔 사용하는 친구가 있다. 우리 집에서 보드게임을 하기로 한 어느 날, 그 친구가 마리화나 합법화 기념으로 우리에게 시음(?)을 시켜주겠다고 자기의 패키지를 들고 왔다. 생애 처음으로 마리화나를 피우는 경험이라니! S도 나도 한번도 피워본 적이 없다는 것을 아는 그 친구는 우리에게 적당한 종류의 대마를 골라줬다. 대마에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면서 이건 기분을 가라앉히고, 이건 졸립게 만들고, 이건 자극이 좀 강하고, 어쩌고 저쩌고 설명을 해줬다. 그리곤 꺼내든 이것.
이건 Vaporizer라고 불리는 마리화나 흡연기구로 여기에다 대마풀을 집어넣고 일정 온도로 가열하면 대마풀의 성분과 기름이 수증기 같은 기체상태로 빠져나오고, 그 기체를 들이마시는거다. 담배 피우듯이 불붙여서 태우는 것보다 이렇게 기체만 들이마시고 내뿜고 하면 냄새도 안나고 입안에도 냄새가 배지 않는 장점이 있다. 사실 이 첨단기구를 이용하니까 내가 마리화나를 피운다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았다. 일단 냄새가 전혀 안나니까 내가 뭘 피우는지도 모르겠고, 기분도 별로 달라지지 않는 것 같고.. 시간이 좀 지나니까 약간 기분이 알딸딸해지는 느낌이 들었다. 그런데 특별한 느낌은 아니고 그냥 술 마시면서 취하는 느낌과 비슷했다. 그리고 내가 평소보다 더 많이 웃었다고, 그게 대마 때문일거라고 친구가 그러더라.
어쨋거나 그렇게 생애 최초로 마리화나를 피워봤다. 소감을 몇가지 말해보면,
첫째, 담배보다는 훨씬 낫다. 물론 기구를 이용했기 때문에 정확한 비교는 힘들지만, 기구로 피운다면 냄새도 안나고 다른 사람에게도 피해 안주고, 그런 면에선 담배보다 낫다.
둘째, 대마로 인한 환각현상은 개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고 한다. 내가 느낀 기분은 술에 취했을 때와 비슷한 기분이었다.
세째, 술은 많이 마시면 숙취 때문에 고생할 수도 있지만, 마리화나는 그런 뒤끝이 없다.
네째, 난 마리화나 피우는 것보다는 술 마시는 편이 훨씬 좋다. 담배든 대마든 피우는 건 영 체질에 안 맞고 싫다.
한국에서 마리화나가 아주 위험한 마약인 것처럼 알려져 있는데 반해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 마리화나는 중독성도 담배에 비해 훨씬 약하고, 담배나 술처럼 몸에 악영향을 미치지도 않는다. 개인적으로 술 담배를 인정하면서 마리화나 피우는 것을 죄악시하는 것 자체가 모순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인식이 미국내에서도 점점 퍼져가고 있고 워싱턴주와 콜로라도주에 이어 마리화나 합법화를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는 주들이 늘어가고 있다고 한다.
난 마리화나 홍보대사도 아니고 적극적으로 그걸 권장하는 입장도 전혀 아니지만, 적어도 대마초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선입견에선 이제 벗어날 때가 되었다고 본다.
November 6, 2016 at 4:48 pm
솔직히 찬성하고 싶진 않습니다. 피우고 난 이후에 환각성은 있는거고요 만약 그겅 피우고 길가는 사람이나 운전하는 사람이 반 환각상태일 수 있다고 한다면..
June 2, 2017 at 3:38 am
담배가 진짜 정부가파는 마약이고 동네친구들도 많이 피는데 삶도 더 윤택하고 열심히삼
마약이라는 어감자체가 한국어로는 선입견이있고 세게들리는듯 미국선 뭐 거의 기호식품임 뉴욕에 친구들이 피다 경찰한테 걸렸는데 좀있냐고 친구놈이랑 경찰관이랑 같이핌 물론 그경찰이 일하는시간이 아니였지만ㅋㅋ
September 13, 2016 at 2:06 pm
엥 그러면 마리화나 합법인 미국의 주나 네덜란드에서 피고 오면 처벌이라는건가?? 라스베가스에서 도박하는것도 마찬가진가 몰랏네
법이 좀 너무하다는생각도듬 기준을 마련하는것ㄷ좋을듯
September 13, 2016 at 9:21 pm
사실 법을 적용하는 것도 너무 힘드니 있으나 마나 한 법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August 23, 2016 at 8:41 pm
잘 앍었습니다만, 글 지우셔야 할 거 같네요.
우리나라는 법체계가 속인주의여서 외국에서 대마를 해도 한국에 귀국하면 처벌됩니다.
August 23, 2016 at 10:43 pm
정보 감사합니다. 뭐 제가 한 모금 한건 이미 삼년 전이니 크게 걱정하지 않습니다. 제가 GD같은 유명인도 아니구..ㅎㅎ
November 20, 2015 at 11:03 am
피우는 기구도 있는건 몰랐네요..향이 안난다는 점을 보면 정말 좋네요 어딜가던 위드냄새가 코를 찔러서..우연히 지나가다가 보게된 블로그지만 앞으로 자주 들를 것 같네요
November 21, 2015 at 4:12 pm
들러주셔서 감사합니다~
September 18, 2015 at 10:38 am
전 한국에 있을때만 해도 마리화나에 대해서 긍정적이였어요. 그런데 미국에서 사는 2년동안 마리화나를 아주 어린시절부터 오래 피웠던 사람 대부분이 가난하고 게으른 사람들인걸 보고는 좋은건 아니라고 생각이 들더라구요. 물론 전부 그렇진 않겠지만.. 잠깐 피우고 마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들이 많기에.. 완전 합법은 악인것같아요..
September 18, 2015 at 11:35 am
저도 마리화나가 좋은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담배가 좋은게 아닌 것처럼 말이죠. 문제는 불법이라해도 암암리에 거래가 되고 있고, 그렇다면 차라리 마리화나 수입에서 나오는 세금이라도 챙길 수 있도록 합법화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 일부 미국 주정부의 의견인 것이죠.
June 9, 2015 at 3:59 am
마리화나. 일단 그 냄새 너무 싫어요. 뉴욕에 처음 왔을때 맨하탄에 스컹크가 있는 줄 알았어요. 길거리에서 그 냄새가 나면 정말 토할거 같아요. 안좋은 경험으로 그냥 즐겨피는 사람들도 싫어지는거 같아요. 그리고 친구중에 한명이 피다가 거의 쓰러지려고 하는걸 봐서 자기 건강상태 봐가며 하는게 맞지 싶어요. 술 플러스 대마는 응급실 갈수도 있구나 생각 하고 하시길..
June 9, 2015 at 11:45 am
저도 무엇보다 냄새가 너무 싫어요. 🙁
처음 피는 사람들이 잘 모르고 너무 빨리 많은 양을 흡입하면 몸에 무리가 온다고 하더라구요. 뭐든 무리하면 안되는거죠.
March 29, 2015 at 5:49 pm
오 저런 기구도 있네요. 저는 냄새는 좋은데 너무 고생을해서ㅜㅜ 소주 5병을 원샷 한 듯한 기분 ㅠㅠㅠ 암스테르담엔 머핀 같은것도 팔던데요.. 거기 갈때마다 좋은 추억이 없어요 ㅋㅋ
March 29, 2015 at 7:58 pm
제가 사는 시애틀에서도 마리화나가 들어간 브라우니나 초콜렛, 디저트는 쉽게 구할 수 있어요. 물론 전 관심이 없어서 먹어보진 않았어요. ㅎㅎ
May 28, 2014 at 2:58 am
ㅋ 마라화나는 우리가 생각한 것 이상으로 위험한거 같아요.
첫째는, 그 자체가 나에게 마약보다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해서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지요. 생각한 것보다 들
위험하다는 것은 여전히 위험하다는 걸 의미하죠.
둘째는, 대부분의 마리화나가 멕시코에서 생산되는데 이 마약의 생산을 위해 많은 이들(시민, 경찰, 갱들)이
갱 싸움으로 잔인하게 죽고 있지요. 또한 생산지에서는 많은 학생과 성인들이 공부를 통해 사회에 진출
하는 것보다 마약을 재배하는 것을 자신의 생업으로 삼고 있지요. 마약밭에서 일하며 노는 아이들을 상상해
보세요.
셋째는, 마리화나등을 포함한 마약 산업으로 맥시코 갱은 1년에 40조의 수익을 벌어들이고 이를 기반으로 미치광이
같은 일들을 벌이고 있죠.
바로 마리화나가 안전하다며 피는 사람들을 통해 벌어지고 있는 일이에요.
나에게 큰 위협이 되지만 않으면 나 때문에 누가 죽어나가도 상관안하겠다는 취지로 글을 썼다면
여러모로 반성해야할 글 같네요
May 28, 2014 at 2:41 pm
님이 남기신 댓글에서도 보여지는 것처럼, 많은 분들이 ‘마리화나=마약’이라는 사고를 하고 계신다는 거죠. 전 코케인이나 헤로인 같은 마약과 자연산 마리화나를 다같은 마약이라고 분류하는 것부터가 잘못이라는 생각입니다. 저도 하드코어 마약류는 아주 엄격히 다루어져야 한다는데 동의하고 그로 인한 폐해가 얼마나 큰지 잘 압니다. 하지만 미국에선 마리화나를 집에서도 재배할 수 있고, 시중의 많은 마리화나는 사실 근처 농장에서 재배된 로컬산이죠.
말씀드렸듯이 전 마리화나를 무조건 지지하는 것도 아니고, 그저 막연하게 마리화나는 무조건 위험한 마약이라는 인식을 고집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을 경험자 입장에서 쓴 것 뿐입니다.
May 29, 2015 at 12:30 am
첫째부분의 위협이란 무엇입니까? 건강에 안좋은것? 나를 서서히 죽음으로 몰아가는것? 술담배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단지 그러인해 얻어지는것(스트레스 해소)이 있으니 용인하는것뿐이지.. 그런논리로 조금더 나가면 패스드푸드, 불규칙적인생활, 스트레스 같은것도 조금씩 저를 죽게 만들고있죠 아닌가요? 큰위협이 아니지만 그렇다고 없는건아니니.. 어떤 얘기를 하려고하는지는 알겠는데 사고의 시야가 많이 좁으시네요.. 그리고 둘째와 셋째의 문제는… “그러므로 하지 말아야한다.” 보다도 “그러므로 양지화 합법화 해야한다” 의 힘을 실어주는 부분입니다. 양지화 한다면 당연히 대마를 합법적으로 재배/유통/사용 하게될꺼고 그러면 그 사이에 갱과 학교 안가는 어린이가 끼어들 틈이 없습니다. 죽는일도 없구요… 에효…
March 10, 2014 at 7:44 pm
Effects of Marijuana Abuse Shown on the Textbook: Euphoria, slowed thinking and reaction time, confusion, impaired balance and coordination, chronic bronchitis, emphysema, frequent respiratory infections,
impaired memory and learning, tachycardia, anxiety, panic attacks, tolerance, addiction, headache, hungry, increased appetite, dry mouth, nausea, liver injury, sleepiness, depression, poor concentration,
distorted perception, loss of interest in school/work/relationships and other activities, tremores, paranoia, reduced blood flow to the brain, fainting, hypertension, lung cancer, and changes in the reproductive organs.
March 12, 2014 at 12:52 am
과다한 음주와 흡연이 몸에 미치는 영향과 비교될만 하지요.
March 22, 2017 at 5:06 am
마리화나를 외국에서 흡연 후에 잔류기간에 대해 정확히 알고싶은데 자료가 없던데.. 혹시 알고계시나요?
남편이 잠까 외국에 있으면서 4개월전에 마리화나를 펴봤다고 하는데
잔류기간전에 키스나 관계를 가지게 되면 영향이 있는지 궁금한데 혹시 아시나요?
March 22, 2017 at 11:20 am
글쎄요. 4개월전이면 이미 체내에 남아있는 것도 없을것 같은데요. 그리고 키스나 성관계는 전혀 걱정하지 않으셔도 좋을겁니다.